고려시대,조선시대의왕순,이름,연도의계보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고려시대 왕, 조선시대 왕순과 이름, 연도, 조선시대 왕의 이름, 고려시대 왕순, 고려시대 왕계보, 조선시대 왕계보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고려 시대 왕순 연도의 계보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고려시대 왕, 조선시대 왕순과 이름, 연도, 조선시대 왕의 이름, 고려시대 왕순, 고려시대 왕계보, 조선시대 왕계보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고려 시대 왕순 연도의 계보
atluminon, 출처 Unsplash

11) 문종 1046~1083 : 8대 현종의 3남 문화 황금기룩 12) 순종 1083 ~ 1083 : 11대 무종의 장남 재위 3개월 13) 선종 1083~1094 : 11대 문종의 차남 송국 제도의 수용 14) 헌종 1094~1095 : 선종의 장남 즉위 1년 만에 숙종 숙종에게 왕위를 물려주다 15) 숙종 1095~1105 : 11대 문종의 장남인 준화인 은병을 통용시켜 장학금을 설립 162.1. 1212.5.5종목 일으켰다가 폐위된 19) 명종 1170~1197:17대 인종의 셋째 아들 무신 최충헌에 의해 폐위된 20) 신종 1197~1204:17대 인종의 다섯째 아들 최충헌이 실권을 쥔 만적의 난 등 대란이 일어나다
jeesungkim99, 출처 Unsplash

21)희종 1204~1211:새 무네의 장남 최 다다 노리를 죽이려고 했지만 실폐 후 폐위된22)강종 1211~1213:19대 명종의 장남 1197년 최 다다 노리에 의해서 강화도에 쫓기며 1211년 최 다다 노리에 의해서 왕위에 올랐다23)고종 1213~1259:강종의 장남 몽골의 장남, 몽고의 침입에 강화로 천도 28년간 항쟁 24)원종 1259~1274:고종의 장남 부모 몽정 개경 환도 추진한 뒤 임신 나이 4위에서 독립한1308~1313:고려 충렬왕의 아들 한국사 최초의 혼혈 왕 개혁의 시도, 원래의 간섭과 권문 세가족의 반발로 성과를 거두지 못한 27)고려 충숙왕 1313~1330,1332~1339:충선 왕의 차남 충선 왕의 조카 심요 오 왕 고와의 정권 다툼
atluminon, 출처 Unsplash

28)충혜왕 1330~1332, 1339~1344: 충숙왕의 장남, 방탕한 행동으로 원나라에 의해 폐위되었다가 복위된 29)충목왕 1344~1348: 충혜왕의 아들 8세로 즉위 후 12세로 서거의 어머니 덕녕공주가 섭정인 30)충정왕 1349~1351: 28대 충혜왕의 서자 12세로 원나라에 의해 다시 왕으로 책봉 후 3년 만에 폐위된 31)공민왕 1351~1374: 27대 충숙왕에 의해 봉해진 후 3년에 개혁·반문 아들을 위해 반민제 이성계에 의해 폐위된 34) 공양왕 1389~1392:20대 신종의 7대손, 고려의 마지막 왕
atluminon, 출처 Unsplash 고려시대에서 조선시대로 바뀐 조선시대 1392~1910(519년간 27대왕) 조선시대 왕순년도 계보

(14세기)1)태조 1392~1398:태조, 이성계의 제1대 왕 2)정종 1398~1400:태조, 이성계의 차남· 제1차 왕자의 난으로 세자로 책봉(15세기)3)태종 1400~1418:태조, 이성계의 다섯째 아들·왕권 강화를 위해서 사병을 없애고 관직 제도 개혁 4)세종 1418~1450:태종의 셋째 아들, 훈민정음 창제, 경제, 사회, 정치, 문화, 음악, 과학 등 전 분야 발전 조선의 황금 시대를 연성 군 5개의 세종 14552)계유정난을 일으키는 조카인 단종의 왕위를 찬탈하다8)감사 종사 1468~1469:세조의 차남, 재위 13개월 만에 서거9)성종 1469~1494:7대 세조의 손자, 조선의 기본 법전, 경국대전, 완성, 조선 전기의 문물 제도 완성, 10)연산군 1494~1506:성종의 장남, 폐비 윤 씨의 아들, 조선의 첫 반정에서 폐위된다11)중종 1506~1544:9대 성종(성종)이 왕 성종(이·송정)이조 복(이·기dawn_at_birdland, 출전 Unsplash(16세기)12)인종 1544~1545:중종의 장남의 성격이 온화하고 효심 깊었던 왕 재위 8개월 만에 서거 13)명종 1545~1567:11대 중종의 차남 12세로 즉위 을사 꽃 14)선조 1567~160811대 중종의 손자 당쟁과 왜군의 침입, 사림의 중앙 정계 진출이 활발하고붕당 형성(17세기)15)광해군 1608~1623:선조의 차남 조선 중기의 격동기에 실리 외교를 선택한 대동 법 시행 16)인조 1623~1649:14대 선조의 손자 반정으로 왕위에 오르다, 미타도 수모를 당한 17)효종 1649~1659:인조의 차남 북벌을 국시로 내세우며 북벌의 기회를 얻을 수 없는 18)현종 1659~1674:효종의 아들, 남인과 서인과의 당쟁에 쇠퇴하기 때문에 조선 시대 조선 시대가 쇠퇴했다유정, 출처안스플래시(18세기)20)경종 1720~1724:숙종과 희빈 그의 아들·노론과 소론·당쟁의 결정기21)영조1724~1776:19대 숙종과 숙빈 최 씨의 아들·붕당 대립 완화 왕권 강화를 위해서 탕평책 실시·균역 법 시행 백서의 군역 부담을 줄인다22)정조 1776~1800:영조의 손자인 사도 세자의 아들 탕평 책계 쇼오 진 사이·인제·조선 후기 문화의 황금기(19세기)1800~18위홍·죠은죠(폰 죠은죠(홍·죠은죠)18유배되었으나 19세로 즉위 26)고종 1863~1907:흥선 대원군의 차남 12세로 즉위 조선 26대 왕이자 대한 제국 제1대 황제(20세기)27)순종 1907~1910:26대 고종의 차남 조선 27대 왕이자 대한 제국 마지막 황제Konradsyx, 출전 Unsplash, 그간 고려 왕조의 계보와 유교적 민본주의를 바탕으로 근대 사회를 연 조선 왕조의 계보에 대해서 봤어요조선의 제27대 왕, 조선 시대 왕의 이름 마지막에 붙어 있는 종,조의 의미가 있습니다.종은 권력을 물려받은 왕으로, 조는 권력을 빼앗거나 만든 왕이라는 의미가 있습니다고려를 멸망시키고 태조, 이성계가 건국한 조선은 519년간 존속하면서 1910년 순종을 마지막으로 태조·정조·태종·세종·문종, 단종, 세조·예의 성종, 연산군, 중종 명종․선조, 광해군(송죠), 인조( 인 조)효종, 현종(현정)숙(스쿠 존), 경종(영조)영조정조순조의 순조헌종 사토시(쵸루죠은)종 27명의 왕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