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도 열심히 공부하는 의사 닥터 아리움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HPL이라는 지방분해 주사의 역사와 최신 논문을 바탕으로 지방분해 성분에 대한 최근 견해까지 말씀드렸습니다.
https://blog.naver.com/arm214/221509376327 다이어트 주사로 잘 알려진 HPL의 줄임말은 Hypotonic Pharmacologic Lipo-dissolution입니다.번역… blog.naver.com
이번에는요즘병원에서많이사용되는윤곽주사,바디조각주사,아큐주사,슬림주사,hpl등여러가지이름으로불리는지방분해주사의구성성분에대한조감도를설명하고자합니다.
일반인의 입장에서도 복잡하지만 의사선생님 입장에서도 잘 모르고 사용하는 약물들이 많은데 이번 문장에서 전체적인 윤곽을 잡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크게 지방분해주사는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습니다
<윤곽 주사 성분 종류> 1. 스테로이드 A.dexamethasone B.triamcinolone 2. Hyaluronidase A. 가루 타입 B. 액상 타입 3. 지방 대사 촉진제 A.Caffeine and sodiumbenzoate B. L-carnitine C.VitaminCD. Hydroxocobala
병원마다 여기에 있는 모든 성분을 포함하고 있지는 않습니다.스테로이드는 많이 들어보셨겠지만 사실 지방분해 효과 면에서 탄탄하지만, 그만큼 부작용이 커서 한때 강남성형외과 피부과에서 엄청난 바람을 일으켰지만 지금은 제한적으로 사용되거나 스테로이드를 사용하지 않는 병원도 있습니다.나머지 성분도 꼭 포함할 필요는 없습니다. 임상적으로 경험적으로 의사들이 판단할 문제이며 중요한 것은 각각의 약물이 어떤 부작용을 낳을 수 있는지, 얼마나 인체에 안전한 최대 용량인지를 알고 있는지 알 수 없는지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1. 스테로이드제 사용량이 많다.
스테로이드가 우리 몸의 기능은 말할 것도 없이 다양하지만 공통적으로 피부 조직에 미치는 영향은 콜라겐을 포함한 피부 결체 조직의 생성을 저하시킵니다. 강력한 항염 작용을 합니다. 스테로이드에도 종류가 여러 가지가 있어요 같은 용량이라도 효과가 강한 스테로이드가 있고 약한 스테로이드가 있는 것입니다. 주로 피부과에서 사용하는 스테로이드 성분은 다음과 같은 성분입니다.
A.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B. 트리암시노론(triamcinolone)
스테로이드는 당질 콜티코이드가 있고 광질 콜티코이드가 있는데 앞의 두 성분은 당질 콜티코이드에 속합니다. 여러 가지 스테로이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왜 두 종류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지 약물의 작용시간, 즉 반감기가 길기 때문입니다.

<덱사메타손과 토리암 시놀론의 차이>

따라서 임상적으로 국소적 부위에 사용할 때에는 데키사메타손보다 트리암시놀론을 더 많이 사용합니다. 그러나 트리암 시놀론도 많이 사용하면 데키사메타손과 마찬가지로 중추신경계에 작용, 부정출혈과 같은 체내 대사에도 부작용을 미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하지요~?2. Hyaluronidase
Healuronic acid를 가수분해시킴으로써 결합조직의 투과성을 변형시키는 확산제입니다. 일시적으로 세포결합의 점도를 감소시키고 투여된 주사액 또는 국소 삼출물의 확산을 촉진시켜 흡수를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상품 이름으로는 ‘리폴라아제’가 많이 알려져 있지만, 최근에는 ‘퓨릴렉스’라는 제품이 액상 타입으로 출시되었습니다. 기존 “히알우로니다제품”보다 순도를 획기적으로 높여 알레르기 반응의 주원인인 이종 불순단백질을 제거하여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킨 고순도 제품입니다. 윤곽주사를 맞아 얼굴이 붓거나 붉어지는 분들은 주로 이 하이알로니다제라는 성분에 의한 경우가 많은데 액상 타입을 사용하여 이러한 부작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그만큼 가격도 비싸겠죠.
A. 가루 타입 ‘리폴라아제’ B. 액상 타입 ‘퓨릴렉스’ 3. 지방대사촉진제
앞의 2가지 성분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대부분 지방 대사를 촉진하는 촉진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너무 대피컬트라서 이해가 안가시는 분들은 이런게 있구나 하고 패스하셔도 좋아요~!
천천히 보겠습니다.
A.Caffeine and sodiumbenzoate* 기관지 평활근 이완제, 중추신경촉진제, 심근촉진제, 이뇨제 작용*PDE 억제, cAMP 상승, 교감신경 활성화

B.L-carnitine * 심장과 간 조직에서 발견되는 고농축 아미노산으로 미토콘드리아에서 지방을 에너지로 변화시키는 역할 * 탄수화물 대사도 용이하게 도와 에너지 생산 향상
C.Vitamin C * L-carnitine 합성에 필요 * 혈관, 뼈, 피부 등을 형성하는 결합조직의 주성분인 콜라겐(교원질) 생성 촉진 * 혈관벽 보호 및 강화, 모세혈관 저항력을 증강시켜 출혈 경향 개선 * 혈소판 생성 촉진 * 트롬빈의 작용 부활 * 멜라닌 색소 생성 억제 * 백혈구, 인터페론, 항체 등의 합성 촉진 * 철분 작용 *
D. Hydroxocobalamin : Vitamin B12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대사에 필요

E. 아미노필린(aminop hylline) * Xanthine 유도체 theophylline 용해성 제재 * 기도의 평활근 세포에 작용하여 기도를 이완 및 확장 * 지방 세포의 β-adrenoreceptor 자극 * phosphodice sterase 억제 * cAMP의 수치 증가 * proteinkinase가 활성화 *

F.Verapamilhcl, 이소프틴(verapamilhcl) * 칼슘 길항제로 심근, 혈관 확장제로 작용 * 지방세포 내 Ca2+ 유입을 막아 phosphodiesterase의 작용을 억제하고 cAMP 증가, Proteink inase를 활성화시켜 지방분해를 유도함.
G. KCL(염화칼륨) * 세포 내 Ca2+의 유입을 증가시키고 cAMP가 감소하여 proteinkinase의 활성도를 떨어뜨리고 오히려 지방분해를 억제 * 직접적 지방분해 효과보다는 벨라파밀에 의한 과도한 Ca2+ 유입을 막기 위한 보상작용을 위하여 사용
4. PH조절제 리도카인의 낮은 pH에 의해 유발되는 통증을 줄일 목적으로 사용A. 글루콘산칼슘B. 탄산수소나트륨
5. 리도카인의 통증을 줄일 목적으로 사용
6. 에피네프린 혈관을 수축시켜 리도카인의 체내 흡수를 줄이고 사용량을 줄여 실혈을 최소화
7. 생리식염수약을 희석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보존성 용액인 halfsaline 0.45% NaCl과 normalsaline 0.9% NaCl이 있습니다.복잡합니다. 여기에 있는 성분들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사용하는데, 여기에 언급된 것 외에도 지방 분해 주사의 최근 가장 핫한 성분인 phosphatidylcholine(PC)과 sodium deoxycholic acid(SDC) 등의 성분들이 있습니다. 이는 앞서 언급한 다른 포스팅에서 자세히 언급되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blog.naver.com/arm214/221509376327 다이어트 주사로 잘 알려진 HPL의 줄임말은 Hypotonic Pharmacologic Lipo-dissolution입니다.번역… blog.naver.com에 언급된 것 말고도 뭔가 있어, 들은 것들은 모두 지방대사촉진제의 일종이라고 생각해 주세요.사실 여기에서 언급한 것은 아니지만 지방대사촉진제에 대해서는 그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의견이 분분합니다.그 많은 약물 중에서도 메인 효과를 내는 것과 보조적인 효과를 내는 것이 있습니다. 그건 임상적인 경험을 해봐야 알 수 있어요. ^^;;; 그런 노하우 까지는 비밀~!!
다음은 지방분해주사의 부작용에 대해 언급해볼까 합니다~!! #아큐주사성분 #윤곽주사성분 #hpl성분 #슬림주사성분 #지방분해주사성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