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일 양치질을 해도 입 냄새가 나거나 침을 삼키는 데 이물감을 느낀다면 목에 편도 결석은 없는지 살펴봐야 합니다. 편도 결석은 목젖 아래 양쪽에 위치한 편도라는 곳에 생긴 노란 알갱이를 말합니다.
편도결석을 제거하지 않아도 큰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지만 심각한 구취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대인관계에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에는 자신의 구취를 참지 못하고 병원을 찾을 수도 있다고 합니다.
그럼 편도 결석의 증상과 원인은 무엇이며, 어떻게 제거하면 좋을까요?편도결석의 원인 및 증상

편도결석의 주된 원인은 만성 편도염입니다. 편도염을 자주 앓으면 편도에 있는 작은 구멍이 커질 수 있으며, 여기에 음식물 찌꺼기가 생기면 세균이 번식하고 덩어리지면서 작은 알갱이를 형성합니다.
또한 평소 구강위생이 좋지 않은 사람이나 비염, 부비강염으로 인하여 비강의 비정상적인 분비물이 목으로 흘러들어간 경우에도 편도결석이 생길 수 있습니다. 문제는 편도 결석이 생기면 심한 구취의 원인이 된다는 것입니다.

편도선이 자주 생기면 입냄새로 인해서 상대방과 대화할 때도 의기소침해질 수 있어요. 편도 결석 증상에는 악취뿐만 아니라 이물감이 느껴지기 때문에 침을 삼킬 때마다 목이 가려울 수 있습니다. 또한 편도선이 생기게 되면 목의 통증을 동반할 수도 있습니다.
편도결석은 요로결석처럼 딱딱하지 않고 손으로 누르면 으스러질 정도로 부드러운 특징이 있습니다.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르거나 양치질이나 기침을 할 때 자연스럽게 배출되기도 합니다.편도 결석 빼는 법

간혹 편도결석 제거를 위하여 가정에서 면봉이나 핀셋을 들고 편도결석을 무리하게 빼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편도에 상처를 남겨 염증을 유발하여 더욱 악화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악취나 이물감 등 편도결석의 증상이 심한 경우, 그리고 편도결석이 잘 되어 불편하신 분들은 편도선을 평평하게 펴주는 편도성형술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 치료를 해도 편도 결석은 재발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편도선을 제거하는 수술을 고려해 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편도선을 절제했다고 해도 혀보다 아래로 내려간 경우, 편도선이 모두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편도선이 다시 생길 수 있습니다.
편도결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편도선염에 걸렸을 때 빨리 치료해야 하며, 입안에 세균이 번식하지 않도록 평소 구강위생을 청결히 하는 것이 좋습니다. 식사 후 양치질과 항균 성분이 있는 양치질을 함께하면 편도 결석 예방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지금까지 편도 결석의 원인과 증상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편도선은 다른 부위에 생기는 결석처럼 반드시 제거하지 않으면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는 것은 아니지만, 너무 자주 발생하면 일상 생활에 불쾌감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미리 예방에 주의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같이 보면 좋은 문장의 구취의 원인과 구취 제거 방법은?장이 안 좋을 때 나타나는 증상은 8개의 혀의 갈라짐, 혀의 통증과 원인 치료 방법은?임파선이 부었을 때 임파선염의 원인과 증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