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깨 오십견 자연치유는 언제쯤 when?

어깨 오십견에 걸리면 팔을 드는 행동이 어려워져 통증이 나타나며, 특히 야간통이 심하여 잠을 잘 수 없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도 자연 치유를 기대하고 방치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하지만 현대인들은 컴퓨터를 하면서 경직된 자세를 오래 유지하거나 반대로 스포츠 활동을 즐기면서 과도한 사용을 하다 보니 빠른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고 있고 기대대로 회복되지 않아 병변이 심화되기도 합니다. 또 30~40대에 발생하기도 하고 최근 남성들 중에 어깨 오십견을 가지는 분들도 늘고 있습니다.

먼저 이 질환에 대해서 잘못된 부분에 대해서 먼저 짚어보겠습니다. 많은 분들이 50대 이상이 됐을 때 대상이 될 거예요. 그러나 더 이른 나이 또는 늦은 나이에 발생할 수 있으며, 이 시기는 생활습관, 취미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전의 증상이라고 해서 방치해도 괜찮다는 것은 아닙니다. 또 비슷한 통증, 운동장애 등이 나타나는 질환이 다양합니다. 그러므로 지속적인 불편이 있으면 진료와 검사에서 양상을 보여주시기 바랍니다. 증상을 느끼기에는 비슷하다고 생각해도 내부적인 상태는 전혀 그렇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적절한 치료를 받고 심화하는 것을 막아야 합니다.

어깨 오십견은 노화가 진행되면서 뼈와 연골, 인대, 힘줄 등이 약해지고 염증이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어깨 관절낭이 유착돼 가동 범위에 제한이 생기고 팔을 드는 동작에 통증이 더 심해진 것입니다. 실제로 유착성 관절낭염 또는 동결견이라고도 합니다.

원인은 특발성과 2차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특발성의 경우 특별한 원인은 없지만 점차 연부조직이 구축되면서 관절운동에 제한이 생기는 것을 말합니다. 또한 2차성은 기존에 가지고 있던 당뇨병이나 갑상선, 경추질환 등으로 인해 2차적인 문제로 발생한 것을 말합니다. 그럼 언제 when병원에 가면 좋을까? 물론 병변이 심각해지기 전에 신속히 대응하면 생활에 지장을 주기 전에 회복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만. 하지만 많은 분들이 어떤 증상이 나타났을 때 전문의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지, 그리고 정말 자연 치유는 어려운지 등에 대해 갈등을 빚어 치료가 늦어지기도 합니다. 만약 어깨 오십견이 악화되면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주게 되고 운동과 같은 적극적인 움직임은 더욱 어려워집니다. 또 회복될 거라고 확신할 수 없기 때문에 전문적인 치료가 굉장히 중요한 순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머리를 감거나 목걸이를 착용할 때, 브러싱을 할 때 이전에 없었던 불쾌감이나 통증이 있다면 병원을 방문해 보십시오.

어깨 오십견 진단을 위해서는 먼저 이학적 검사가 이루어집니다. 또한 엑스레이를 찍게 되는데, 이러한 방법으로는 연부 조직의 양상을 찾기 어렵고 초음파 검사가 이루어질 수도 있습니다. 주로 그 후 약물, 주사, 도수 치료 등이 이루어집니다. 특히 주사는 초음파 검사를 통해 내부 상태를 꼼꼼히 확인하고 주입되어 정확한 부위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맨손 치료는 물리치료사의 도움으로 경직된 부위를 풀어주고 관절의 가동 범위를 확보해 줍니다.

당장 수술을 서둘러야 할 상황이 아니라면 이런 과정을 통해 나아지기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치료에서 효과를 얻지 못했다면 MRI를 찍어 초음파보다 자세한 양상을 확인한 후 수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술식은 근본적인 병변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어깨 오십견 수술을 유리술이라고 부릅니다. 관절내시경을 이용하여 진입하여 좋지 않은 피를 제거하고 유착된 관절낭을 박리시키는 방법으로 진행의 난이도가 높지 않은 과정입니다. 이때 내시경 기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넓은 절개를 하지 않고도 내부 양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만약 튀어나온 비단봉이 있거나 회전근개 파열이 함께 확인되면 한꺼번에 비단봉 성형술, 봉합술이 이루어질 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이런 술식이 동시에 진행되기도 합니다.

현대인은 평균 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보다 건강한 신체를 유지하고 삶의 질을 유지하는 데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최근 의료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여러 부분에서 부담을 덜 수 있게 되었고 예후에도 좋아졌으니 이상증상이 반복될 경우 빠른 대응 바랍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