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SQL의 가장 기본적인 사용법입니다.데이터베이스와 테이블, 레코드의 구조 확인, 기본적으로 MySQL을 실행했을 때 필요한 데이터베이스를 작업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한다는 명령을 수행해야 합니다.그러기 위해서는 현재 경로에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목록을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데이터베이스 목록 중 하나를 선택하면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면 명령을 입력합니다.데이터베이스안에는 기본적으로 테이블이 존재합니다. 구조를 알기 위해서 테이블 리스트를 출력합니다.테이블 리스트를 봤을 때 작업할 특정 테이블을 하나 가지고 테이블 정보를 파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이 명령어는 테이블 자체의 생성 스크립트를 보여줍니다. 어떤 엔진이 사용되었는지 확인하는데 유용합니다.테이블 안에 있는 레코드의 유형, 키 등을 확인합니다.테이블의 정보를 보았는데 그 안에 있는 레코드의 예를 직접 알고 싶다면 select 명령으로 출력할 수 있습니다.* 보통 데이터베이스에는 한번에 출력하기 어려운 대량의 레코드가 들어있기 때문에 limit 10을 뒤에 붙이면 상위 10개의 레코드만 출력하는 방식으로 이용합니다.데이터베이스, 테이블, 레코드 작성, 샘플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겠습니다.작성한 DB내 테이블을 작성해 보겠습니다.괄호 안에는 type 이름과 컬럼 이름이 들어갑니다. 테이블을 만들 때는 스키마를 반드시 작성해야 합니다.* 스키마란? : 테이블의 구조 및 테이블 간의 관계를 정의한 것.단순하게 말하면 테이블 구조. 자, 작성한 테이블에 레코드를 한번 넣어보도록 하겠습니다.지금까지 데이터의 구조를 파악하고 데이터를 작성하는 작업을 해왔습니다.실습을 마친 후 MySQL을 종료하기 위한 명령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출력시 결과가 깨져 나올 경우 마지막 세미콜론(;) 대신 G를 입력하여 깨끗한 결과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