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rk Materials 추천/ 리뷰/ 스포일러 황금나침반 영도(미드) His

나는 2007년에 나온 황금나침반이라는 영화를 정말 재미있게 봤어

아쉬운 점이 많았다=영화 황금나침반 포스터의 완성도나 극의 전개방식 등에는 아쉬운 점이 많았지만 기본적인 세계관과 설정이 정말 매력적이고 흥미로웠기에 영화를 여러 번 볼 정도로 좋아했다. 속편이 나오지 않는다는 사실을 아쉬워만 했는데! 이게 웬일인가! 드라마 명가 BBC에서 황금나침반 드라마를 제작한다는 소식을 듣고 자나깨나 하는 드라마가 나오기를 기다렸다.그것도 너무 오래 기다리다보니 나온다는 사실도 잊어버렸는데 얼마전 황금나침반 드라마 His dark materials가 나왔다는 소식을 듣고 빨리 시청했어!현재 시즌1만 나온 상태에서 올 가을쯤 시즌2가 나올 것으로 알려졌다.지금 이 글을 쓰고 있는 현재 시즌 16화까지 봤는데 정말 시즌2가 나올 때까지 어떻게 기다려야 하는지 궁금하다.

드라마 His Dark Materials 포스터

황금 나침반은 His dark materials라는 3부작 시리즈를 드라마화한 것으로 원작자는 필립 풀먼이다.흔히 판타지 3대 작품이라고 반지의 제왕 나니아 연대기 어스시 연대기 등 세 작품을 꼽는데 필립 풀먼 작가의 황금 나침반 시리즈도 이 3대 작품과 어깨를 나란히 할 만큼 유명하고 평가도 좋은 것 같다.작가는 이 작품으로 카네기상을 받았고 카네기상 제정 70주년 기념 카네기상(최고의 카네기상, 전국노래자랑 연말결산대상이 되지 않을까)을 또 받았다고 한다.

골드 나침반 영어책 표지

황금 나침반 영화 제작사에서 그대로 제작해서인지 데몬들의 모습이 비슷해 보인다. 하지만 드라마로 만든 만큼 극 전개가 치밀해 훨씬 설득력이 있다. 영화는 짧은 시간에 방대한 내용을 담았기 때문에 생략된 부분이 많았던 것 같다.

기본적으로 간단하게 스토리를 풀자면 한 소녀가 세상을 구하는 이야기지만 이 세상이 우리가 사는 세상은 아니다. 우리가 사는 세계와 같은 세계가 저 소녀가 사는 세계와 연결된 평행우주로 나온다. 그리고 이 세상의 한 남자가 또 한 명의 주인공과 같다. 아직 책을 읽어보지는 않았지만 나중에 기회가 되면 책이라도 꼭 읽어보고 싶다.

이 드라마를 보기 직전에 반지의 제왕을 정주행했는데 반지의 제왕은 전쟁이 너무 많이 나와 좀 보기가 힘들었다. 하지만 생각해 보면 톨킨 씨는 세계 1, 2차대전을 겪은 분이고 필립 풀먼 씨는 세계 2차대전 후 세대(정확히는 세계 2차대전이 끝난 이듬해인 1946년에 태어남)에서 평화로워 보이지만 통제되고 있는 현대사회의 면면을 소설을 통해 보여준 것 같았다. 이렇게 작가의 생애와 소설 내용의 연관성에 대해 생각해 보는 것도 재미있었다.

아래부터는 몇 가지 설정에 대한 생각을 정리한 내용인데 스포일러가 될 수 있으니 주의해서 스크롤을 내려주시기 바랍니다.

데몬: 데몬은 영혼이 동물의 모습으로 구현돼 인간 곁에 존재하는 것이다. 영혼이라는 말보다 자의식이란 말이 더 어울리는 것 같다. 철자는 daemon이지만 악마라는 뜻의 demon과 발음이 같아 이를 겨냥한 듯하다. 처음엔 왜 우리 자의식에 악마라는 부정적이어서 이름을 지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지만 드라마를 보면서 생각해 보니 그것은 매지스테리움에서 붙인 이름으로 자의식(자유의지)을 부정하고 통제하기 위해 붙인 이름이라는 생각이 들었다.데몬이 어릴 때는 자유자재로 변하고 어른이 되면 고정되는 것도 재미있는 콘셉트였다. 이는 우리가 자기 정체성을 갖는다는 것에 대한 상징이다.라이라의 데몬판은 하얀 담비로 자주 나오는데 필립 풀먼 작가가 데몬에 관한 영감을 얻은 것이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하얀 담비를 안은 여인이라는 그림이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나도 인터넷 검색중에 스포되었지만, 결국 버전은 단비로(아마 흰색이지?) 고정된다고 한다.

라이라 데몬판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하얀 덤비를 안은 여자’ 라이라와 판 보이시나요? ㅎ 알레시오미터 : 알레시오미터는 진실판독기라고 하는데 신의 뜻을 알려주는 기구로 보인다. 라이라는 순수하기 때문에 별다른 노력 없이 알레시오미터를 읽을 수 있지만 학자들은 이를 수많은 책을 통해 알려고 한다. 세상을 아이의 눈으로 보면 아주 단순하지만 어른의 눈으로 보면 복잡해 보인다는 비유라고 생각했다.

드라마 ‘His Dark Materials’에 나온 알레시오미터 이올렉 바니순: 니체의 ‘사자’를 상징한다. 라일라가 어린아이(순수함, 지혜)를 상징한다면 이 올렉 배니슨은 용기, 불굴의 투지를 상징한다고 할 만하다.그리고 무지한 상태에서는 타인에게 속아 조종당해 노예로 살아갈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듯했다. 왕자와 거지의 이야기에서 거지가 다시 왕자로 변해가는 모습을 보는 듯했다.

멋쟁이 용자 이올렉 바니슨 솔직해서 어느덧 세기를 뿜어내는 집시: 평소에 집시를 좋아하는데, 이 드라마에서는 집시가 정말 멋지게 생겨서 기뻤어. 라일라의 부모님은 정말… 다소 쓸데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집시 가운데 존 파나파더 콜론, 마코스타 같은 인물들이 라일라의 영혼의 부모님 역할을 하는 것 같았다. 라일라가 이올렉도 집시라는 것을 보고 자유인으로 다시 성장하는 라일라의 모습을 보고 뿌듯하고 기뻤다. 그리고 가족이라는 것이 단순히 피로 맺어진 것이 아니라 사랑으로 맺어진 존재이며, 우리 모두는 한 가족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듯하다.

매지스테리움: 예전 영화들이 뭔가 어설픈 이유 중 하나가 종교계의 반발로 눈치를 보면서 그렇게 됐다는 얘기가 있었는데 그게 매지스테리움 같은 모습을 다시 보여주는 한 사례가 아닌가 싶어 재미있었다. 자유 의지를 통제하고 사람들을 조종하려는 세력 라일라가 콜터 부인에게 데몬을 끄는 것이 그렇게 좋다면 왜 내 데몬을 끄는 것을 막았느냐고 묻자 사이다 백만 병을 마신 것처럼 기분이 좋았다. 스마트폰 앱을 만들어 부자가 된 사람들이나 마돈나 같은 TV 스타가 자기 자식에게 스마트폰이나 TV를 못 보게 한다고 들었는데 그런 것과 비슷하지 않나 싶다.

#HisDarkMaterials #황금나침반 #영드 #미드 #BBC #필립풀만 #데몬 #알레시오미터 #이올렉배니슨 #라일라 #빵 #레오나드다빈치 #담비 #판타지3대작품 #판타지소설 #판타지소설

error: Content is protected !!